HYOSUNG HEAVY INDUSTRIES

기술자료

※ 취급설명서 및 카탈로그는 홍보물 자료에서 확인하실 수 있습니다.

기초지식 및 FAQ 타이틀
제목 [저압전동기] 방폭형 전기기기의 특징
  • 구분 : 기초지식
  • 조회수 : 14479
첨부파일

1. 방폭전기기기의 구조별표시방법

 

방폭전기기기의 구조

표시방법

내압(耐壓)방폭구조

d

유입(油入)방폭구조

o

압력(壓力)방폭구조

p

안전증가(安全增加)방폭구조

e

본질안전(本質安全)방폭구조

ia 또는 ib

특수(特殊)방폭구조

s

2. 방폭전기기기는 그 최고표면온도에 따라 T1∼T6로 분류한다

온도등급

T1

T2

T3

T4

T5

T6

최고표면온도(℃)

≤450

≤300

≤200

≤135

≤100

≤85

3. 방폭전기기기 권선의 허용온도

구 분

측정
방법

절연의 종류

A

E

B

F

H

정격사용시 허용온도

R
T

90
80

105
95

110
100

130
115

155
135

정격사용시 허용온도상승한도
(주위온도가 40℃인경우)

R
T

50
40

65
55

70
60

90
75

115
95

허용구속시간을 경과했을때의 허용온도

R

160

175

185

210

235

허용구속시간을 경과했을때의 허용온도
상승한도(주위온도가 40℃의 경우)

R

120

135

145

170

195

( R: 저항법 , T:온도계법)

4. 방폭형 전기기기 표시기호

Ex e Ⅱ T3

Ex

방폭형전기기기임을 의미

e

안전증가 방폭구조를 표시
(d:내압방폭구조 , p:압력방폭구조 등등)

사용장소가 가스 분위기임을 의미
(분진및 탄진따위일 경우는 Ⅰ로 표기함)

T3

외피표면의 온도상승한도를 표시한다

단, 내압(耐壓)방폭구조에서 사용되는 기호중 ⅡA,ⅡB,ⅡC는 가스의 종류에 따라 구분한다. 예) ⅡA:프로판 , ⅡB:에틸렌 , ⅡC:수소 또는 아세틸렌

5. 기호비교

구분

방 폭 구 조

사용
장소

외피 표면
온도 상승한도

정격부하에서 사용시 권선온도 상승한도
(권선종류가 F종인 경우일 경우)

Ex e Ⅱ T3

안전증가방폭구조

가스
사용
지역

200℃

90℃

Ex e Ⅱ T4

안전증가방폭구조

135℃

90℃

Ex d ⅡB T4

내압(耐壓)방폭구조

135℃

100℃

상기 표의 권선 온도 상승한도는 주위온도 40℃에서 정격부하운전시 저항법에 의한 방법을 적용했을 경우임


6. 위험장소 분류

1) 0종장소
   지속적으로 위험분위기를 생성하거나 생성할 우려가 있는 장소

2) 1종장소
    통상의 상태에서 위험분위기를 생성할 우려가 있는 장소

3) 2종장소
   이상상태에서 위험분위기가 생성할 우려가 있는 장소

 

7. 방폭구조 선정원칙

위험장소

방폭구조

0종장소

본질안전방폭구조

1종장소

내압방폭구조

내압방폭구조

유입방폭구조

2종장소

안전증가방폭구조
유입방폭구조

폭발성분진위험장소

분진방폭구조
특수방폭구조

가연성분진위험장소

분진방폭구조
보통방진방폭구조

 

8. 주요국가의 위험장소표시 분류 방법

국 명 (규격)

위 험 장 소 표 시

한국 , 일본 (IEC)

0 종장소

1 종장소

2 종장소

서독 (VDE)

ZONE 0

ZONE 0

ZONE 0

영국 (BS)

DIVISION 0

DIVISION 1

DIVISION 2

미국 (NEC , UL)

DIVISION 0

DIVISION 2


기초지식 및 FAQ 타이틀
다음글 [저압전동기] 기동방식(결선관련은 "전동기 결선 방식(결선도)" 참고할 것)
이전글 [저압전동기] 절연 방식에 의한 분류